울산광역시 북구  염포동 행정복지센터
염포동 행정복지센터_우리동 소식 > 동뉴스 게시판 보기화면
2023년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이용자 추가모집 안내
작성자 염포동 작성일 2023-08-29

2023년도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이용자 추가모집

 

2023년도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이용자를 다음과 같이 추가모집하오니, 주민 여러분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.

 

모집기간 : 2023. 9. 4.() 09:00 ~ 9. 12.() 18:00 (7일간)

신청사업 :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 등 18개 사업

대 상

서비스명

아동,청소년

(5)

-영유아발달 지원서비스       -아동청소년심리 지원서비스

-아동비전형성 지원서비스   -아동 체험활동 지원서비스

-초등돌봄서비스

성인(12)

-실버맞춤문화활동서비스       -어르신생기발랄서비스

-사랑나눔 안마서비스              -건강증진 맞춤운동 지도서비스

-직업능력발달서비스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가족이음서비스

-임산부생활건강 지원서비스  -생활영농기술 지원서비스

-성인심리 지원서비스              -청년 마음건강 지원서비스

-가사지원서비스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일상돌봄서비스

장애인(1)

-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

 

신청방법 : 주민등록상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 직접 방문접수   

 

신청자격 : 사업별로 상이(아래 표 참고)

 

구비서류 : 신분증, 건강보험증(피부양자 확인 시) 외 사업별 요구 증빙서류

   건강보험증이 없는 경우 건강보험자격확인서(자격득실확인서X) 발급

 

문 의 처 : 북구청 노인장애인과(241-7194), 염포동 행정복지센터(241-8485)

  -수행기관은  울산지역사회서비스 지원단 홈페이지(http://ussag.or.kr)에서 참고하기 바랍니다.

서비스명

연령

중위소득

중복신청X

필요 구비서류(아청 제외하고 신청일로부터 6개월 이내여야 함)

영유아발달지원

2017년생 이하

160% 이하

아동청소년심리,

발달재활, 언어발달

1.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 (개월차수에 맞는 것) 종합판정이 양호또는 주의일 경우 신청불가

예시) 신청일 기준 41개월 , 6개월 지났어도 5차 결과지 제출

기타소견, 발달검사결과에 X, 종합판정에 문구기재 확인

2. (심화검사 실시한 경우) 심화검사결과지

아동청소년심리

재판정 1

2005년생 이하

영유아발달,

발달재활

신규 - 4가지 서류는 같은 검사자가 발급하는 것이 원칙

1. 진단서(혹은 소견서) (6개월)

 

2. 소견서 요약본 (6개월)

* 의사가 임상심리평가 진행하고 진단서(혹은 소견서) 작성 시 요약본 불필요

* 병원은 소아과X 소아정신과 O

 

3. 전문가보고 검사 결과지 1(유효기간 1)

(K-WISC-V (WPPSI, WAIS포함) 지능검사, K-ABC2)

 

4. 부모보고 검사 결과지 1(유효기간 6개월)

(K-CBCL, K-ARS, RCMAS, -PRC, -CYP, PRES/SELSI, KPI-C, MMPI(다면적 인성검사)

* 심리평가보고서에 부모보고·전문가보고

검사결과지 첨부된 경우 소견서로 갈음 가능

(이 경우에도 소견서 요약본은 반드시 필요)

5. (우선순위)소아정신과, 정신의학과에서 3개월 이상 진료받은 이력이 있는 아동(진료확인서 제출)

재판정 - 4가지 서류는 같은 검사자가 발급하는 것이 원칙

1. 진단서(혹은 소견서)

2. 진단서(혹은 소견서) 요약본

3. 전문가보고 검사결과지 1(유효기간 : 2 )

4. 부모보고검사결과지 1(유효기간 : 6개월)

5. 사전, 사후검사결과지 (객관+주관 검사 각각 총 4)

6. 서비스 종결평가서

7. (우선순위)소아정신과, 정신의학과에서 3개월 이상 진료받은 이력이 있는 아동(진료확인서 제출)

아동비전형

2016~2008년생이하

150% 이하

-

-

아동체험활동

2016~2011년생이하

-

-

실버맞춤문화활동

1963년생 이상

-

-

어르신생기발랄

(실버심리지원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★재판정1

(65

이상위험군)

1958년생 이상

-

1. 긴급심리지원대상자(사례관리 대상)

2. 치매, 우울증, 스트레스, 자살충동 등으로 인하여 심리상담이 필요하다는 의사진단서·소견서, 임상심리사소견서, 정신보건전문요원1급소견서, 보건소장· 추천이 있는 경우(진단서 등 제출)

 3. 치매(치매간이선별검사 MMSE-DS,CDR,ADL, 7분치매검사),우울증(노인우울증간이검사 GDS-K, Beck우울증검사, 정신신경증상척도), 자살생각척도 중 증상에 맞춰 위의 도구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한 검사결과 절단점 이상인 경우 (검사결과지 제출)

간이검사이므로 검사자 따로 신경 쓸 필요X

 재판정 신청 시 구비서류

- 70세 이상인 자, 우울증 고위험군

- 구비서류 진단서·소견서 첨부(병원/정신건강복지센터)

사랑나눔안마

재판정 1

제한없음

임산부생활건강

1. 재활치료대상자: 진단서, 소견서(부상사고로 인한 재활필요자 명시)

2. 지체, 뇌병변 등록: 장애인등록증

3. 근골격계/ 신경계/ 순환계: 의사진단서, 소견서, 처방전, 진료확인서 중 1(코드 첨부파일 참고)

4. 임부: 임신확인서, 산모수첩 신청일 기준 임신 중일 것(전날까지 출산자 해당X)

재판정 신청 시 구비서류

- 최초신청과 동일

장애인보조기기렌탈

재판정 5

1999년생 이하

제한없음

-

1. 지체 또는 뇌병변: 장애인등록증

2. 척수장애 및 근위축증: 의사소견서, 진단서

장애아동 2명이상 시 본인부담금 한등급씩 하향조정

건강증진맞춤운동

2016년생 이상

150% 이하

임산부생활건강

1. 심부전/신부전/고혈압/당뇨/갑상선/고지혈증: 의사진단서, 소견서, 처방전, 진료확인서(1)

2. 장애인: 장애인등록증

3. 12주이상 임부: 산모수첩, 임신확인서

4. 출산 후 1년 미만 산모: 가족관계증명서 제출

5. 만7~ 65세 미만 중 심신의 문제로 운동 요하는 자: 의사진단서, 소견서, 보건소장 추천서

6. 보건소 및 병원에서 체지방 측정결과 경도비만 이상:

체지방률-여성28%이상, 남성20%이상

본인확인(이름, 생년월일)이 되는 결과지만 인정

공공센터(보건소 등)나 병원 인바디만 인정

7. 만65세이상: 없음

직업능력

발달서비스

2009~1959년생 이하

-

추가구비서류 없음 

우선순위 선정시 필요서류

1. 경력단절자: 경력증명서(종료일 표기)

4대보험 중 1개 보험 확인서(직장가입자 종료일)

2. 구직활동중:  워크넷 등의 구직활동증명서(최근 6개월 이내)

(일하고 있으면 우선순위X !!)

 3. 장애인

- 장애인 등록증

가족이음서비스

(부모학교서비스)

제한없음

160% 이하

임산부생활건강,

성인심리

1. 자녀양육·부부관계 어려움 있다는 의사진단서(정신과, 신경정신과) 또는 임상심리사 소견서

 2. 자녀양육·부부관계 어려움 있다는 등록 제공기관 소견서

임산부생활건강

재판정 1

(우울증

고위험군의 경우)

제한없음

가족이음, 건강증진,

사랑나눔안마,성인심리

1. 출산 전: 임신 12주 이상 증명할 수 있는 산모수첩, 임신확인서 등

2. 출산 후: 가족관계증명서 등

재판정 신청 시 구비서류

- 신청서류 + 우울증 고위험군이라는 정신과 소견서 등

생활영농기술지원

1953~1983

제한없음

-

-

성인심리지원

1988년생

160% 이하

가족이음,

임산부생활건강

진단서, 소견서

(심리적인 문제로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어려움이 있다 명시되야 함.)

가사지원

재판정 1

제한없음

제한없음

-

1. 임금근로자: 제출서류 없음

-자영업자: 사업자등록증명원과 택1(소득금액증명원, 임대차계약서, 매출증빙자료 등)

2. 한부모가정: 한부모가족증명서 또는 가족관계증명서

3. 육아휴직자: 육아휴직 증명서

청년마음건강

재판정 3

1989~2004년생 이하

제한없음

-

1. 자립준비청년(보호종료확인서) 및 보호연장아동(시설확인서 또는 위탁확인서)

2.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연계한 청년(연계의뢰서)

*19~34세 이하 일반 청년의 경우 증빙서류 없음

*재판정은 소견서 제출

초등돌봄서비스

2011~2016년생 이하

제한없음

아이돌봄

증비서류 없음

-우선순위: 한부모증명서, 맞벌이(4대보험이면 X/ 4대보험 아니면 소득금액증명서 등)

일상돌봄서비스

1959~1983년생

(돌봄필요중장년) 1984~2013년생

(가족돌봄청년)

 

 

제한없음

-

 

1. 돌봄필요중장년(본인) - 돌봄 필요성과 돌봄자 부재 모두 충족해야 함.

-돌봄필요성: 진단서, 소견서 또는 공공민간기관 추천서

 *진단서에 독립적 신체활동 및 일상생활 유지에 상당한 제한이 있음 명시돼야함

-돌봄자부재: 주민등록상 1인가구(등본 1) 또는 경제활동 학업 등으로 돌봄이 어려운 사유 증빙(재직증명서, 장애인 등록증, 장기요양인정서 등)

2. 가족돌봄청년(가족) - 돌봄 필요성과 돌봄자 부재 모두 충족해야 함.

-돌봄필요성: 진단서, 소견서 또는 공공민간기관 추천서

*진단서에 독립적 신체활동 및 일상생활 유지에 상당한 제한이 있음 명시돼야함

-가족돌봄부재: 돌봄대상가족과 동일한 주소 등본에서 확인 혹은 공공민간기관 추천서 혹은 재직증명서

서비스구분

기본서비스

(돌봄+가사)

특화서비스

(선택가능)

내용

서비스 제공시간 및 주기(표준)

A(가사돌봄형)

36시간

1개 이용

돌봄 및 가사서비스가 필요한 경우

3시간/3

(12)

B(가사형)

12시간

2개 이용

가사서비스만 필요한 경우

3시간/1

(4)

C(추가돌봄형)

72시간

-

대상자가 질병 등으로 혼자서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때, 추가적 돌봄필요한 경우

3시간/6

(24)

D(특화형)

-

2개 이용

타 공적 돌봄서비스(장기요양, 가사간병, 보훈재가복지 서비스 받는 경우)중복되면 특화서비스만 가능

-

 

대상

특화서비스종류

서비스내용

돌봄필요

중장년

식사,영양관리

스스로 식사준비가 어려운 대상에게 맞춤형 식사 지원 및 영양관리

병원동행

거동이 불편한 서비스 이용자에게 이동 및 동행보조, 병원 접수 등

심리지원

전문가에 의한 맞춤형 심리지원 실시

휴식지원

중장년 대상 단기 시설보호 지원

건강생활지원

건강증진 및 생활운동 프로그램 지원

소셜 다이닝

생활에 필요한 요리 배우는 등 사회참여 지원

교류증진 지원

지역주민과의 일상 소통 교류 지원

가족돌봄청년

식사,영양관리

스스로 식사준비가 어려운 대상에게 맞춤형 식사 지원 및 영양관리

병원동행

거동이 불편한 서비스 이용자에게 이동 및 동행보조, 병원 접수 등

심리지원

전문가에 의한 맞춤형 심리지원 실시

휴식지원

돌봄대상가족 단기 시설보호 지원

간병교육

간병 돌봄 등에 대한 교육 제공

독립생활지원

청년 자립기반 조성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파일
이전,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.
이전글 (완료) 소금포역사관 체험교실-디퓨저 만들기(대상: 60세이상 시니어)
다음글 2023년 점역,교정 지원 사업 안내

만족도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?

평가